두광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2학년도 양성평등교육 가정통신문
작성자 *** 등록일 22.03.14 조회수 1293
첨부파일

소통과 배려로 나를 찾아가는 행복한 학교

가정통신문

두광중 교무부

부패신고

QR코드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반구대로 1930-5 / TEL (052) 262-6016 / FAX (052) 262-6986

성 평등이란 성별때문에 차별 받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성별에 관계없이 개성을 존중받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자유롭게 사는 것을 말합니다.

성별에 따라 서로 나누고 우열을 가리는 성차별이라는 편견을 넘어서, 다름을 받아들이고 화합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양성 평등에 대해 함께 생각해 봅시다.

1

성역할 고정 관념 버리기

여자와 남자는 달라야 해! 라는 고정관념은 옛날보다 약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나의 행동을 막습니다. 성 역할에 갇히지 않고 원하는 대로 행동할 자유가 있습니다. 때문에 고정된 성 역할에 따르지 않거나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공정하지 않게 대한다면 그것은 차별입니다.

가족이 만드는 성 역할 고정관념

우리가 태어나 처음 접하는 세상인 가족은 성 역할 고정관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모가 나를 대할 때, 딸과 아들로 나누어 대하거나 형제·자매가 여자다운 혹은 남자다운 모습을 강요하기도 합니다. 성별에 따라 다르게 대하는 가족의 태도는 우리 생각에 영향을 줍니다.

) 남자는 아파도 티내면 안돼~ 눈물 뚝해.

대중매체 속에 숨어있는 성 역할 고정관념

TV 프로그램이나 웹툰, 인터넷 동영상 등 대중매체에서 여자, 남자는 이렇게, 저렇게 행동해야하는 것으로 그려질 때가 많습니다. 성 역할에 대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접할수록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화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존댓말이 없는 영어 대화를 번역하면서 남편은 반말, 아내는 높임말 사용

똑같은 부모인데 남편은 이름으로, 아내는 누구 엄마로 구분

2

혐오, 상대방에게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요즘 인터넷이나 방송 등을 통해 혐오 표현을 배우고 따라 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친구들에게 남자다운 척’, ‘센 척관심과 인정을 받고 싶고 존재감을 확인하고 싶어서라고 합니다.

혐오 표현은 주로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대상으로 비난하고 조롱하는 것으로 자신의 약한 모습을 감추려는 비겁한 행동입니다. 하지만 약자의 위치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고 이동합니다. 해외여행을 가서 아무 이유 없이 인종차별 피해를 당한 경험을 호소하는 사례에서 보듯이 나 또한 혐오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겁니다. 누구나 혐오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혐오는 나만 비켜가지 않습니다. 혐오로부터 나 자신을 지키는 일! 내가 존중 받는 가장 쉬운 방법은 똑같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뒷면 계속>

3

양성 평등! ‘나다움을 인정하는 것

양성 평등은 여자와 남자라는 성별을 떠나 각자의 차이를 인정하고 동등한 인격체로 존중하는 것입니다. 성 역할 고정관념이 사라지면 자연스런 감정과 욕구에 따라 행동할 수 있고, 내가 가진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습니다.

남자다움, 여자다움에서 벗어날 때, 차별과 편견이 사라질 때, 여자와 남자를 구분하고 가르는 대립과 갈등도 사라질 것입니다.

나다움을 있는 그대로 인정받는 것, 양성 평등은 우리 모두를 위한 것입니다.

4

가정에서의 양성평등 실천

자녀 양육 ㆍ 교육에 있어서 평등하려면 양성평등 의식 향상을 위한 성 중립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1) 자녀에게 격려, 칭찬, 꾸지람 등을 할 때 자녀의 성별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합니다.

2) 예절이나 단정한 용모는 남녀가 모두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는 차원에서 가르쳐야 합니다.

3) 진로, 학업 선택, 클럽활동 선택 시 남자와 여자의 영역이 따로 있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이 배제되도록 지도하고, 자녀의 선택을 존중하여 격려해 주어야 합니다.

4) 들이 친절하고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라면 칭찬해주고 그렇지 않다면 감성을 키워줘야 합니다.

5) 딸들에 대해서는 예의바른 행동과 여성스러운 행동을 구별하도록 합니다. 수줍어하고 침묵을 지키고 수동적인 것을 미덕으로 여기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가족 내에서의 양성평등 실천은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는 발판이 됩니다.’

5

양성평등 관련 온라인 무료교육 http://egenedu.kigepe.or.kr

우리 사회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사례들을 쉽고 재미있게 구성하여 진정한 양성평등의 의미를 짚어보며 우리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이 얼마나 평등한지 또, 양성평등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면 무료로 교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출처: 한국양성평등교육 진흥원 홈페이지

2022314

두 광 중 학 교 장 [직인생략]